미니멀라이프: 제로웨이스트 제대로 알기

반응형

제로웨이스트

안녕하세요, 클레어입니다.

지난번 필(必)환경시대의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제로웨이스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제로웨이스트에 대해 광범위하게 알고 있다면 실제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함에 있어 금방 지치고 익숙했던 생활 패턴으로 돌아가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그 뜻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로웨이스트에 대해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돕고자 제로웨이스트 샵으로 유명한 “더 피커”에서 제공하는 “제로웨이스트학개론” 자료를 일부 참고하여 제 나름대로 재구성해보았습니다.


제로웨이스트의 등장배경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구는 계속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쓰레기양도 늘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어떤 물건이 제 기능을 온전히 다할때까지 사용했었지만 대량생산과 소비량의 급증으로 쓰레기양이 급격하게 늘어났고, 그 증가량에 비해 처리능력은 현저히 떨어짐에 따라 중대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것이죠. 그리고 상용화된 지 약 60여 년밖에 되지 않은 플라스틱으로 인해 범지구적인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의 악영향에 대해서 경각심과 대처 방안이 필요합니다.



제로웨이스트
"더피커" 제로웨이스트학개론 中


제로웨이스트의 정의

 

제로웨이스트를 그대로 직역하면 쓰레기를 원천적으로 만들어내지 않는 생활방식을 뜻하게 되지만 “waste”는 쓰레기라고도 해석됨과 동시에 “낭비”라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고로 불필요한 소비를 지양하여 그로 인한 쓰레기는 만들지 않으며 새로운 구매를 함에 있어서도 쓰레기가 최소화될 수 있는 물건을 고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존에 가지고 있는 물건들의 경우 온전히 그 쓰임을 다할 때까지 사용하며 올바른 분리배출법에 따라 폐기해야 합니다.

 

 

반응형

 

제로웨이스트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 소비 의존적 삶

 

제로웨이스트가 어렵게 느껴지는 가장 큰 이유는 과거와 달리 우리는 의식주를 자급하기보다는 돈을 주고 구입을 하는 소비형태가 압도적이기 때문일 텐데요. 그리고 제로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은 그러한 소비의 방법과 방향, 질까지 바꿔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섣불리 실행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제로웨이스트
"더피커" 제로웨이스트학개론 中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소비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오늘날 너무나 많은 공급이 이루어지고 최저가, 무료배송, 사은품 등의 말들로 소비자들을 현혹합니다. 그렇게 소비자들은 욕망에 휩싸이고 필요 이상의 구매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금세 신상품들이 유행하여 이미 사둔 물건들을 다 소진하기도 전에 또 구매를 하며 소비주기가 매우 짧아져 그때마다 쓰레기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죠. 즉, 소비의 행태가 지불-사용-폐기의 시점까지 고려해야 마땅하지만 소비자들은 지불시점에만 초점을 두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는 우리도 소비를 할 때 구매단계에 그치지 않고, 사용하고 폐기되는 시점까지 바라보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실천 방법

[준비 단계]

제로웨이스트 라이프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이라면 다음의 사항들을 참고해 봅시다.

- 내가 사용하는 제품 중 플라스틱이 있더라도, 끝까지 다 사용한 후 올바르게 분리수거할 것

- 내 생활에서 작별을 고할 플라스틱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여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접근할 것

(1회 용품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

- 꼭 사용해야만 할 때는 재활용률이 높은 플라스틱의 기준을 적용할 것

(상표나 라벨 분리가 가능한 제품 구매하기, 색이 없는 투명한 플라스틱 제품 위주로 구매하기 등)

 

 

[전략적 관리 및 실행단계]

제로웨이스트
"더피커" 제로웨이스트학개론 中

위와 같이 기록을 통해 내가 하루에 양산하는 쓰레기가 얼마나 많은지 “문제 파악”을 하고 “목표 설정”을 하여 가장 먼저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관찰하여 변화시켜 봅니다. 예를 들면 배달 음식을 1주에 몇 회 이하로 정한다든지, 샴푸 대신 플라스틱 통에 담겨있지 않고 환경에 덜 유해한 성분을 가진 제품으로 대체한다든지 말이죠.

 

5R - 쓰레기를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

 

5R 쓰레기 줄이는 방법
"더피커" 제로웨이스트학개론 中

 

REFUSE: 필요하지 않은 것은 거절하기

1+1 행사에 현혹되어 불필요한 물건 구매하지 않기, 카페에서 주는 일회용 빨대를 거거절하기, 길거리 전단지 받지 않기 등

REDUCE: 줄이기

의류, 책, 주방용품 등 아직 사용 가능하지만 나에게 불필요하다면 이웃에 기부하거나 중고 나눔 장터에 공유하여 그 쓰임을 다 할 수 있게 하기

REUSE: 재사용하기

일회용품 사용하지 않기, 중고품 구입하기, 리폼하여 새로운 물건으로서 사용해 보기

RECYCLE 재활용하기

개인의 차원에서는 분리수거를 잘하는 것이지만 기업의 차원에서는 생산하는 제품의 용기나 포장재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은 모색이 필요합니다.

ROT 썩히기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자연분해가 될 수 있는 쓰레기를 퇴비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사실상 실천하기가 좀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마당 있는 집에 살면 모를까…)

 

쓰레기를 줄이는 10가지 방법

 

1. 일회용 휴지보다 손수건 사용을 일상화하기

 

2. 일회용 플라스틱 컵 대신 개인 텀블러 이용하기

 

3. 플라스틱 빨대를 미리 거절하고 다회용 빨대 사용하기

 

4. 플라스틱 비닐봉지 대신 재사용 가능한 면주머니 (에코백) 챙기기

 

5. 필요한 만큼 포장 없는 벌크 제품 구입하기

 

6. 플라스틱 칫솔 대신 생분해성 대나무 칫솔 사용하기

 

7. 일회용 나무젓가락과 플라스틱 수저 거절하기 (가능한 개인식기 사용)

 

8. 배달 및 인스턴트 포장 음식을 줄이고, 유기농 제철 음식 위주로 먹기

 

9. 나에게 필요 없는 물건(홍보 전단지, 샘플, 1+1등) 은 거절하기

 

10. 공동체형 동네 중고 직거래 마켓 이용하기

 

이렇게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내가 할 수 있는 쉬운 것부터 한번 골라서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로웨이스트 트렌드에 대한 우려

제가 하나 우려되는 것은 제로웨이스트 라이프 스타일이 트렌드라고 해서 재미 삼아, 뭔가 좋아 보이니까 이런 식으로 유행에 따라 소비되지는 않았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예를 들어 제로웨이스트 라이프를 플라스틱 혐오와 같은 의미로 생각하여 당장 현재 쓰고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다 갖다 버리고 친환경적이다 싶은 제품들을 오히려 더 많이 구매한다거나 하는 행동은 제로웨이스트 라이프 실천의 본질적 목표를 흐리는 행동일 것입니다. 저 또한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제 생활 패턴을 돌아보고 무엇이 문제인지 눈여겨보며 실천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영상]

 

2019.08.12 - [클레어의 미니멀 라이프] - 미니멀라이프: 필(必)환경시대 - 제로웨이스트 (Zerowaste) 실천

2019.10.24 - [클레어의 미니멀 라이프] - 더피커 도슨트 투어 참여후기 - 건강한 소비 제로웨이스트, 천연세제 소프넛 구매

 

더피커 도슨트 투어 참여후기 - 건강한 소비 제로웨이스트, 천연세제 소프넛 구매

2019. 10. 19 참여 계기 2016년도부터 운영된 대표적인 제로 웨이스트 샵의 하나인 더피커가 이번 달에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으로 매장 이전을 하며 새롭게 오픈하였다. 오픈과 함께 [더피커 도슨

clairehalimkim.tistory.com

 

미니멀라이프: 필(必)환경시대 - 제로웨이스트 (Zerowaste) 실천

안녕하세요. 클레어입니다. ​ 오늘 정말 정말 중요한 주제를 들고 왔습니다. ​ 자본주의, 산업사회 이후로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상기후, 플라스틱 쓰레기 섬 등 환경문제의 심각성

clairehalimkim.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